룻기: 하나님의 구속적 사랑에 대한 이야기보기

Ruth: A Story of God’s Redeeming Love

7 중 5 일째

"집안간 사람"은 사망한 남자의 대를 잇기 위해 가까운 친족이 죽은 형제의 아내와 결혼해 책임을 다하는 사람입니다. 오늘날에는 낯선 개념이지만 당시 이스라엘에서는 하나님이 과부와 고아들을 돌보시는 한 가지 방법이었습니다. 보아스는 엘리멜렉과 가까운 친척으로 룻에게 집안간 사람이 되어 줄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보리와 밀 추수가 끝났을 무렵에도 보아스는 그 책임을 이행하지 않았습니다. 곡식을 타작하고 까부를 때가 되었습니다. 나오미도 여느 시어머니처럼 직접 나서서 보아스에게 무언의 압박을 넣기 시작했습니다.

나오미는 룻에게 목욕을 하고 향수를 바르고 고운 옷으로 몸을 단장하라고 일렀습니다. 이제 상복을 벗고 일상으로 돌아온 사람의 차림새를 하라는 뜻이었습니다. 그리고 타작마당에서 보아스를 찾아 그의 발치를 들치고 누워 그가 반응하는 걸 기다리라고 시켰습니다.

여자인 룻에게 밤에 미혼 남자를 만나러 가라고 한 것은 당시 문화에서 상상할 수 없는 일이었습니다. 나오미의 계획을 따른 룻은 비난과 공격을 자처하는 거나 다름없었습니다. 한밤중에 목욕재계를 하고 향수와 고운 옷으로 단장한 젊은 여자가 자기 침대로 올라온다면 보아스는 어떻게 생각했을까요? 오해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겁니다. 그러나 그게 나오미가 의도한 바였을지도 모릅니다. 그리고 룻은 순종했습니다. 나오미는 하나님의 때를 기다리지 못하고 조바심이 나 그런 꾀를 생각해낸 것으로 보입니다. 애초에 가족을 모압으로 이주하게 만든 바로 그 무모함처럼 말입니다.

영원이란 관점에서 볼 때 하나님의 타이밍은 늘 완벽합니다. 그때를 기다리다 보면 초조해지기도 하고,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의심하기도 합니다. 하나님께서 주권과 뜻으로 행하시는 동안 재촉하려 할 때도 많습니다. 나오미와 룻만큼은 아니더라도, 우리 역시 하나님 보다 앞서 나가 자신의 뜻대로 미래를 이끌려 합니다. 하나님을 신뢰하며 기다리기보다는 직접 하나님의 역할을 하려고 합니다. 성경은 하나님을 기다리라고 분명하게 말합니다. 40번이 넘게 거듭해서 전합니다.

하나님의 때를 기다리는 일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룻에게 보아스를 기다리라고 한 나오미의 조언은 아이러니하게 느껴집니다. 나오미 자신은 하나님의 뜻을 기다리지 않았으면서 룻에게 보아스가 움직이길 기다리라고 했으니 말입니다. 똥 묻은 개가 겨 묻은 개 나무라는 격입니다! 어쩌면 나오미는 하나님에 대한 깊은 믿음으로 그렇게 행동했을 수도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자신의 위험한 계략을 사용해서 선을 이루실 거라 믿었을지도 모릅니다. 결론적으로 하나님의 뜻은 나오미의 행동보다 앞서 있었습니다.

여러분의 삶에서 하나님의 때를 기다리고 있는 영역이 있나요? 아직 결혼할 짝을 기다리고 있을 수도 있고, 새로운 직장을 구하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아기라는 하나님의 축복을 간절히 바라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성경은 하나님께서 행동하시기를 더디하지 않으신다고 말합니다. 하나님의 때는 완벽합니다!

물론 하염없이 기다리는 걸 좋아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기다림을 통해 하나님의 놀라운 섭리를 더 잘 알게 됩니다. 가끔은 어떤 일에 제때가 있기에 그 시기를 기다려야 한다는 게 분명해지기도 합니다. 기다림의 목적이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무언가를 가르치기 위해서라고 생각해 본 적은 없나요?

여러분 삶의 어느 영역에서 하나님이 기다리라고 말씀하셨나요? 기다리는 동안 하나님은 여러분에게 무엇을 가르치고 계실까요?

묵상 소개

Ruth: A Story of God’s Redeeming Love

가장 위대한 이야기 중 하나인 룻기는 하나님의 구속의 사랑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평범한 이들의 삶 속에서 어떻게 자신의 섭리와 주권을 드러내시는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자기 백성을 향한 그리스도의 사랑과 희생의 아름다운 이야기는 하나님께서 결코 자녀를 포기하지 않으신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More

이 묵상 계획을 제공해 주신 Armchair Theology Publishing에 감사드립니다. 더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려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세요. https://www.timothymulder.com/